반응형 확정일자2 전월세 주택임대차 신고 인터넷으로 하는 방법 (확정일자) 전세와 월세 계약을 하면 전월세 신고를 필수로 해야 합니다. 오늘은 전월세(임대차) 신고에 대해 주요 내용과 신청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 ■ 전월세(임대차) 신고제란? 전월세(임대차)신고제는 2021년 6월 1일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습니다. 임대차 시장의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하고 임차인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. ☞ 신고 대상 보증금 6,000만원 또는 월세가 30만 원 초과인 전월세 계약 신규계약, 재계약 포함 미신고 또는 거짓신고 시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☞ 주요 내용 계약을 체결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 임대인/임차인 중 한 명만 신고 인터넷 또는 주민센터(주택 소재)에서 가능 전월세 신고를 하면 자동 확정일자 발급 ■ 전월세(임대차) 신고 신청방법 '부동산.. 2024. 3. 11. 확정일자 인터넷 신청 및 발급방법 확정일자는 월세, 전세로 집을 계약했을 경우 필수로 받아야 합니다. 또한 전세대출을 받으신다면 대출 신청 시에 임대차계약서 확정일자를 제출해야 합니다. 오늘은 확정일자의 뜻과 인터넷으로 쉽게 신청하는 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 ■ 확정일자란? 임대차계약서가 법률상 인정되는 날짜를 의미합니다. 확정일자를 받아야 집이 경매로 넘어가게 될 경우 임차인의 권리(대항력, 우선변제권)를 주장하여 보증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. ■ 확정일자 신청방법 인터넷 등기소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임대차계약서,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. · 평일 16시 이전 신청 시 : 당일 부여 · 평일 16시 이후, 공휴일, 주말 신청시 : 다음 근무날에 부여 1. 인터넷 등기소 로그인 먼저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 ▶ 인터넷.. 2024. 3. 10. 이전 1 다음